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Fj5J4/btsI0dCv5sU/PE7KeRo2nbrmsgPxdnSGt1/img.jpg)
투수의 투구폼은 투수가 공을 던지는 동작과 스타일을 의미하며, 각각의 투구폼은 투수의 스타일, 구위, 그리고 타자의 타이밍에 영향을 미칩니다.
투수들이 사용하는 다양한 투구폼은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.
투구폼의 종류
1. 오버핸드 (Overhand)
• 설명: 투수가 공을 머리 위에서 내리꽂는 방식으로 던지는 폼입니다. 공을 던질 때 팔이 몸과 수직에 가깝게 위쪽에서 아래로 움직이며, 투구 시 높은 릴리스 포인트에서 공이 나옵니다.
• 장점: 오버핸드 투구는 공이 아래로 떨어지는 각도가 커서 낙차가 큰 커브볼을 던지기에 유리합니다. 타자에게 높은 릴리스 포인트에서 공이 나오기 때문에 공의 궤적을 예측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.
• 대표 투수: 박찬호 (KBO 출신, MLB에서 활약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VMX4A/btsIZLGuCEp/AMPZrEV8fXZwc8oWK9QGW1/img.jpg)
2. 쓰리쿼터 (Three-Quarters)
• 설명: 팔이 45도 각도 정도로 비스듬히 내려온 위치에서 공을 던지는 투구폼입니다. 오버핸드와 사이드암의 중간 형태입니다.
• 장점: 오버핸드보다 공의 각도는 덜하지만, 수평 움직임이 증가하여 슬라이더와 같은 구종을 던지기에 적합합니다. 타자가 공의 궤적을 읽기 어렵게 만드는 장점이 있습니다.
• 대표 투수: 양현종 (KBO 기아 타이거즈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mf6yt/btsI0Fee4ux/hNaq2KI0p86rZe4QV1NkIK/img.jpg)
3. 사이드암 (Sidearm)
• 설명: 팔을 거의 수평에 가깝게 낮춰서 던지는 투구폼입니다. 팔이 몸과 거의 평행하게 움직이며, 릴리스 포인트가 낮습니다.
• 장점: 공이 횡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타자에게 궤적을 읽기 어렵게 합니다. 공의 측면 움직임이 커져서 슬라이더와 싱커를 효과적으로 던질 수 있습니다.
• 대표 투수: 정우람 (KBO 한화 이글스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mHcwk/btsI003kNSr/L6p15Z7t46ztJN2eSufTAk/img.jpg)
4. 언더핸드 (Underhand) / 사이드암 투수의 변형 (Submarine)
• 설명: 팔을 거의 지면과 평행하거나 지면 가까이에서 던지는 폼입니다. 투수가 허리를 크게 숙이며, 팔이 지면 가까이에서 공을 릴리스하는 형태입니다.
• 장점: 타자가 전혀 예상하지 못한 각도로 공이 날아오므로 타이밍을 뺏기 쉽습니다. 공이 지면에 가깝게 던져져 타자가 공을 읽기 어려워집니다. 특히 타자의 몸쪽으로 휘어지는 공을 던지기에 유리합니다.
• 대표 투수: 임창용 (KBO 삼성 라이온즈), 김병현 (KBO, MLB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YJXcK/btsI0y0JmX5/EkTt9w4GRCzkSHQxgqzer1/img.jpg)
투구 자세 관련 용어
1. 와인드업 (Windup)
• 설명: 투수가 다리를 높이 들고 크게 회전하여 공을 던지는 폼입니다. 주로 주자가 없는 상황에서 사용되며, 투구를 하기 전에 긴 준비 동작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• 장점: 더 큰 힘을 사용해 빠른 공을 던질 수 있으며, 다양한 변칙적인 동작을 추가하여 타자의 타이밍을 빼앗을 수 있습니다.
2. 셋 포지션 (Set Position)
• 설명: 주자가 있는 상황에서 주로 사용되는 폼으로, 투수가 준비 자세에서 바로 공을 던지는 폼입니다. 투수가 발을 모으고 서서 간단한 준비 동작 후 공을 던집니다.
• 장점: 주자의 도루를 견제하면서도 빠르게 공을 던질 수 있습니다. 윈드업보다 투구 준비 시간이 짧아 도루를 방지하기에 좋습니다.
3. 킥 앤드 딜리버리 (Kick and Delivery)
• 설명: 다리를 높이 들어 올리며 던지는 투구 폼입니다. 이는 윈드업에서 많이 사용되며, 다리를 높이 들었다가 내리면서 투구하는 방식입니다.
• 장점: 투구에 더 많은 힘을 실을 수 있으며, 타자의 타이밍을 뺏을 수 있습니다. 타자가 다리 움직임에 주의를 기울이게 되어 공의 출발을 놓치기 쉽습니다.
투수의 투구폼은 각자의 신체적 특성과 선호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, 구종의 종류와 타자 공략법에 따라 다양한 폼을 선택하여 사용합니다.
투구폼은 투수가 가진 구종의 구위와 타자의 타이밍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'야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타, 대주자 등 야구에서 선수 교체 규칙 (98) | 2024.08.17 |
---|---|
좌완 투수, 우완 투수와 플래툰 시스템 (109) | 2024.08.15 |
우천 취소? 강우콜드? 비가 와서 야구 경기를 하기 어려울 때! (85) | 2024.08.12 |
투수의 구종과 구질: 투심? 스플릿? (2) | 2024.08.10 |
인필드 플라이, 공이 아직 공중에 있는데 아웃이라고? (6) | 2024.08.09 |